공지 [보도자료] 2024 제2회 대한민국 관광정책대상 시상식 개최

관리자
2024-12-10
조회수 228

기초지자체 7곳 선정…전주·수원·정선·포항·신안·보령·통영 수상

[서울=한국관광정책연구학회] 한국관광정책연구학회(회장 이연택 한양대 명예교수)는 9월 24일 「2024 제2회 대한민국 관광정책대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이번 대상은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한 후, 전문가 예비심사와 본심사를 거쳐 총 7개 부문에서 우수한 관광정책을 추진한 지자체가 최종 선정되었다. 이번 시상식은 각 지자체를 직접 방문하여 개별 시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역 현장에서 정책 성과를 공유하고 기초자치단체장과의 대담을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관광정책개발부문 전주시 – 아중호수 관광명소화 사업>

전주시는 ‘아중호수 관광명소화 사업’을 통해 관광개발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해당 사업은 호수와 한옥마을을 연계하여 전주의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을 통합적으로 개발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케이블카 설치, 야경 조성, 공공도서관 건립 등이 포함된 장기 마스터플랜은 지역 관광의 구조적 전환 가능성을 보여줬다.

[관련기사] 
프레시안(2024.10.21.) “전주시, 아중호수 관광명소화 사업 대한민국 우수 관광정책 선정 ”

[사진자료] 


<문화관광자원부문 수원특례시 – 역사문화관광자원개발사업>
수원특례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한 ‘역사문화관광자원개발사업’으로 문화관광자원 부문에서 수상했다. 행궁동 일대를 스마트관광도시로 재구축하며 전통과 현대를 결합한 관광 생태계를 조성한 점이 주목을 받았다.

[관련기사] 
서울신문(2024.10.17.) "수원시, 제2회 대한민국 관광정책대상’ 문화관광자원 부문 대상’"


[사진자료] 


<생태관광자원부문 정선군 – 웰니스 생태관광지 조성사업>

정선군은 ‘웰니스 생태관광지 조성사업’으로 생태관광자원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청정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한 신선숲, 가리왕산 국가정원, 화암관광지의 웰니스 프로그램 등은 지역의 생태관광을 고부가가치 콘텐츠로 발전시킨 사례로 평가되었다.

[관련기사] 
강원일보(2024.10.28.) “정선군 전국 최고 생태관광지 위상 드높여”

[사진자료] 


<관광산업부문 포항시 – POEX 기반 마이스 산업 육성사업>

포항시는 ‘POEX 중심의 MICE 산업 육성정책’으로 관광산업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철강 산업도시에서 글로벌 마이스 도시로 전환을 꾀하는 전략적 정책으로, 관광컨벤션도시추진본부 설립과 전시산업 클러스터 조성이 인상적이었다.

[관련기사] 
세계일보(2024.10.15.) “포항의 혁신적 마이스산업 육성 정책 통했다”

[사진자료] 

<관광마케팅부문 신안군 – 1섬 1컬러 1004섬 컬러마케팅>

신안군은 ‘1섬 1컬러 1004섬 컬러마케팅’으로 관광마케팅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퍼플섬을 포함한 섬별 고유 색상 지정 전략은 시각적 브랜드 형성과 SNS 공유 확대 등 관광객 유치에 탁월한 성과를 보였다. 민간기업과의 협력 구조도 주목받았다.

[관련기사] 
메트로신문(2024.11.11.) “신안군, 대한민국 관광정책대상 수상 ”

[사진자료] 

<축제이벤트부문 보령시 – 보령머드축제 글로벌 콘텐츠 확장>

보령시는 대표 축제인 ‘보령머드축제’를 통해 축제이벤트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머드자원 기반의 글로벌 참여형 축제로 자리매김하며 친환경 콘텐츠 확장과 해외 홍보 확대를 통해 축제의 지속성과 국제적 인지도를 높인 사례로 평가받았다.

[관련기사] 
더팩트(2024.9.27.) "김동일 보령시장, ‘제2회 대한민국 관광정책대상수상 "


<관광디자인부문 통영시 – 야간관광 특화도시 조성사업>

통영시는 ‘투나잇! 통영’ 브랜드로 야간관광 특화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해 관광디자인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해상무대와 나이트프린지 공연, 야간투어 프로그램을 통해 체류형 관광 전환에 성공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관련기사] 

뉴시스(2024.9.25.) "통영시, 대한민국 관광정책 '대상'…관광디자인분야 수상 "

[사진자료] 


이연택 한국관광정책연구학회 회장은 “이번 관광정책대상은 지역별 특화정책의 깊이와 행정 리더십의 실행력이 돋보인 해였다”며 “특히 축제, 디자인, 생태, 산업 등 다양한 관광정책 분야에서 정책 확산과 협력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관광정책연구학회는 관광정책의 학문적 정립과 실천적 적용을 통해 지역관광 발전을 도모해온 관광정책 전문 학술단체로, 2012년 관광정책연구회로 출범해 2023년 현재 명칭으로 새롭게 정비되었다. 학회는 정책포럼, 조례 자문, 정책보고서 발간 등 다각적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부설 연구기관인 로컬임팩트연구소를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 설계와 맞춤형 컨설팅을 전개하고 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