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정책연구학회(회장 이연택)가 지난 12월 9일(금) 성수동 여행서점 트립북앤스페이스에서 2022년도 제3회 관광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이태원 핼로윈축제 사고를 계기로 보다 안전한 지역축제를 만들기 위해 정부, 지자체, DMO, 관광기업, 지역주민, 관광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요구되는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날 포럼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1부에서는 본 학회 회장인 이연택 한양대학교 명예교수가 ‘지역축제의 안전관리를 위한 사회적 대응 과제: 위기관리정책과 관광ESG를 중심으로’를 제목으로 발제를 맡았다. 발제에서는 위기관리정책의 관점에서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이어지는 단계별 대응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관광ESG의 관점에서 지역축제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공동체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부에서는 지역축제의 안전관리와 관련된 주요 이슈별로 주제별 토론이 이루어졌다. 토론에는 고진숙 용산구 7대, 8대 구의원, 권신일 에델만EGA 대표, 김형우 한반도문화관광연구원장, 성시윤 트리스토리 대표, 심원섭 목포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하였다. 우선, 첫 번째 주제로는 ‘지역축제의 군중 안전관리를 위해 우선적으로 보완해야할 위기관리대책은 무엇인가?’가 기본적인 주제로 제시되었다. 이에 대해 고진숙 용산구 7대, 8대 구의원은 “재난안전관리에 대한 제도화는 충분히 이루어졌으나, 이를 실제로 집행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특히 대비단계에서 상황에 맞는 시뮬레이션 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김형우 한반도문화관광연구원장은 “지역축제나 행사의 안전관리에 대한 전담 관리책임자를 명확하게 명시할 필요가 있으며, 행사주체가 없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행사들에 대해서도 집단적 조직화를 지원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주제로는 ‘재난사고 이후에 발생하는 지역관광상권의 붕괴, 지역관광이미지의 훼손 등과 같은 2차적 관광재난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가 제시되었다. 이에 대해 성시윤 트리스토리 대표는 “이태원의 경우 사고 현장을 뉴욕의 그라운드 제로처럼 기억의 장소를 남기는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일방적인 추진이 아니라 지역주민, 지역사업자들과의 충분한 협의가 사전적으로 요구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권신일 에델만EGA 대표는 “이태원 사고로 훼손된 지역관광지의 이미지가 개선되는 데는 생각 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태원을 세계인이 찾아오는 글로벌 안전관광지구로 조성하는 정면 돌파적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세 번째 주제로는 ‘관광ESG적 관점에서 지역축제의 안전관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어떻게 재규정할 것인가?’가 제시되었다. 이에 대해 성시윤 트리스토리 대표는 “공공부문은 물론 지역관광사업자, 지역주민, NGO, 관광객 등 민간부문의 역할이 필요하며, 그런 의미에서 관광ESG의 G의 개념인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이 시급히 요구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심원섭 목포대학교 교수는 같은 맥락에서 “이번 일로 인해 지역축제의 안전에 대한 정부의 지나친 규제와 개입이 이루어질 것이 우려된다며 각각의 이해관계자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지역축제 안전을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번 포럼을 개최한 관광정책연구학회(TOPA)는 정책현안을 중심으로 관광정책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관광정책포럼을 매달 개최하고 있다. 관광정책연구학회(TOPA)는 관광정책포럼을 통해 관광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산되고 다양한 아이디어 논쟁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관광정책연구학회(회장 이연택)가 지난 12월 9일(금) 성수동 여행서점 트립북앤스페이스에서 2022년도 제3회 관광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이태원 핼로윈축제 사고를 계기로 보다 안전한 지역축제를 만들기 위해 정부, 지자체, DMO, 관광기업, 지역주민, 관광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요구되는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날 포럼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1부에서는 본 학회 회장인 이연택 한양대학교 명예교수가 ‘지역축제의 안전관리를 위한 사회적 대응 과제: 위기관리정책과 관광ESG를 중심으로’를 제목으로 발제를 맡았다. 발제에서는 위기관리정책의 관점에서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이어지는 단계별 대응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관광ESG의 관점에서 지역축제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공동체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부에서는 지역축제의 안전관리와 관련된 주요 이슈별로 주제별 토론이 이루어졌다. 토론에는 고진숙 용산구 7대, 8대 구의원, 권신일 에델만EGA 대표, 김형우 한반도문화관광연구원장, 성시윤 트리스토리 대표, 심원섭 목포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하였다. 우선, 첫 번째 주제로는 ‘지역축제의 군중 안전관리를 위해 우선적으로 보완해야할 위기관리대책은 무엇인가?’가 기본적인 주제로 제시되었다. 이에 대해 고진숙 용산구 7대, 8대 구의원은 “재난안전관리에 대한 제도화는 충분히 이루어졌으나, 이를 실제로 집행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특히 대비단계에서 상황에 맞는 시뮬레이션 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김형우 한반도문화관광연구원장은 “지역축제나 행사의 안전관리에 대한 전담 관리책임자를 명확하게 명시할 필요가 있으며, 행사주체가 없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행사들에 대해서도 집단적 조직화를 지원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주제로는 ‘재난사고 이후에 발생하는 지역관광상권의 붕괴, 지역관광이미지의 훼손 등과 같은 2차적 관광재난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가 제시되었다. 이에 대해 성시윤 트리스토리 대표는 “이태원의 경우 사고 현장을 뉴욕의 그라운드 제로처럼 기억의 장소를 남기는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일방적인 추진이 아니라 지역주민, 지역사업자들과의 충분한 협의가 사전적으로 요구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권신일 에델만EGA 대표는 “이태원 사고로 훼손된 지역관광지의 이미지가 개선되는 데는 생각 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태원을 세계인이 찾아오는 글로벌 안전관광지구로 조성하는 정면 돌파적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세 번째 주제로는 ‘관광ESG적 관점에서 지역축제의 안전관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어떻게 재규정할 것인가?’가 제시되었다. 이에 대해 성시윤 트리스토리 대표는 “공공부문은 물론 지역관광사업자, 지역주민, NGO, 관광객 등 민간부문의 역할이 필요하며, 그런 의미에서 관광ESG의 G의 개념인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이 시급히 요구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심원섭 목포대학교 교수는 같은 맥락에서 “이번 일로 인해 지역축제의 안전에 대한 정부의 지나친 규제와 개입이 이루어질 것이 우려된다며 각각의 이해관계자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지역축제 안전을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번 포럼을 개최한 관광정책연구학회(TOPA)는 정책현안을 중심으로 관광정책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관광정책포럼을 매달 개최하고 있다. 관광정책연구학회(TOPA)는 관광정책포럼을 통해 관광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산되고 다양한 아이디어 논쟁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